서울 지하철 빵집 1000원 빵

서울 지하철 빵집 1000원 빵

이대역 천 원 빵집 매장에서 만난 20대 대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새 학기부터 이 식당을 발견하고 나서부터 매일 통학길에 사 먹는 중이다."

지난 18일 오전 2호선 이대역 개찰구 앞.
천 원 빵집을 운영 중인 사장은 손님이 고른 빵을 계산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하루 평균 2천 개씩 팔린다.
인근 대학생이 손님 비중의 70% 정도다.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영 중이다.
출퇴근 길에 손님이 가장 많다."

사장은 빵 가격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진부한데 정말 박리다매다."

지난해 12월부터 해당 장소에서 천 원 빵을 판매 중이라고 한다.

"납품을 받는 곳마다 차이가 있지만 매일 오전 원가 800원 정도의 빵을 받아서 당일 소진 중이다. 
최소 마진이라서 많이 팔아야 이윤이 남는 구조다."

요즘 지하철 역사 내에선 전품목 무조건 천 원이란 문구가 달린 빵집이 흥행 중이다.
이대, 신촌역 등 대학가와 직장인 유동 인구가 많은 을지로, 종각, 양재역 등에서 성행 중이다.
수원역처럼 주요 수도권 역에서도 천 원 빵집을 발견할 수 있다.
매장엔 호떡, 카스테라, 단팥빵, 소보로, 땅콩 샌드 등 규모에 따라서 최소 20~40가지의 빵이 한가득 쌓여있다.
천 원 빵 가게에 납품 중이란 공장 빵 제조사 중간 유통업자는 이렇게 말했다.

"빵 1개 납품가는 770원이다. 20가지 빵을 공급하는 중이다.
첫 계약 땐 20가지 빵을 다 한 상자씩 총 천 개 사야 한다.
이어선 원하는 빵만 50개 단위로 살 수 있다. 상권이 중요하다.
서울 지역은 하루 평균 2천~5천 개 정도 나간다."

외식 물가 급등 상황 속에서 단돈 천 원으로 간단히 식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에 시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이런 매장이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재료 종류, 함량에 품질 차이는 있지만 시중의 베이커리랑 가격 차이가 커서 당일도 서울 지하철 역사 내 천 원 빵집은 꾸준히 붐볐다.

서울 시내 지하철 역내 천 원 빵집에서 만난 한 주부는 이렇게 말했다.

"이름 있는 빵집의 빵은 가격이 부담스럽다.
고급 재료를 쓴 빵보다는 덜해도 편의점, 대형마트, 베이커리에서 판매 중인 빵들과 맛이 크게 차이는 없다.
그런 곳은 2+1 행사, 통신사 할인을 받아야 개당 천 원이다.
여기는 먹고 싶은 걸 저렴하게 살 수 있으니 좋다."

지난주까지 천 원이었지만 이번 주부터 1200원이 된 빵집도 있었다.
이런 곳은 납품처에서 단가를 올려서 그렇다고 한다.

해당 매장 업주는 이렇게 말했다.

"이번 주 월요일부터 부득이하게 값을 올렸다.
이곳에서 천 원에 판매하기엔 이윤이 안 나서 판매량 감소 감수하고 내렸다.
대신 김밥, 뻥튀기, 쥐포 등 다른 간식을 함께 판매하며 손님을 유치 중이다."

서울 지하철 빵집 1000원 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