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양식 맛집의 삼계탕 노쇼 사례와 군부대 사칭 사기

보양식 맛집의 삼계탕 노쇼 사례와 군부대 사칭 사기

삼계탕 50 그릇 주문 후 잠적한 손님.
이로 인해 피해를 입은 한 음식점 사장의 사연.

지난 20일 온라인 자영업자 커뮤니티 사이트.
이곳엔 이런 제목의 글이 올라갔다.

"노쇼 당했습니다, 75만 원."
 
해당 게시물에 따르면 이렇다.

사장은 5년 이상 보양식 식당을 운영 중이다.
그는 지난 18일 삼계탕 50개 포장 주문을 받았다.

이런 일로 글을 적게 될 줄은 몰랐다.
남자였고 단체라서 주문이 많은데 포장 가능하냐고 물었다.
그리고 50개 주문을 하면서 가격 확인도 했다.

주문자는 다음 날 19일 7시까지 가지러 온다고 말했다.
그리고 수시로 수량, 금액을 확인했다.
그리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사업자 등록증도 요청했다.

사장은 조금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고 전했다.
그리고 무슨 승인을 말하는 거냐고 묻자 법인카드.
이것을 통한 단체 주문이라서 회사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사장이 꺼려 하는 눈치를 보이자 그는 명함 요구를 했다.
사장은 알겠다고 통화 종료 후 문자로 보내주는데 이상한 느낌.
그리고 의문이 들었다고 전했다.
이에 다시 전화를 하려다가 말았던 자신.
스스로를 바보처럼 느껴졌다고 전했다.

사장은 사진 촬영을 해서 보냈고 예약 수량에 받게 음식을 준비했다.
하지만 해당 주문자는 전화 연락도 받지 않았고 19일에도 안 나타났다.

사장은 지역에 대기업과 협력 업체가 많다.
이에 종종 법인 카드를 이용한다.
평소 예약금을 안 받고 있다.
이에 안일하게 생각했다.
금전도 금전인데 이상한 느낌이 계속 들었지만 열심히 준비한 자신.
스스로가 바보처럼 느껴져서 화가 난다고 전했다.
그리고 혹시나 해서 커뮤니티에 접속하니 비슷한 피해 사례가 많았다.
그 글을 보지 못했다면 마감까지 그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다른 자영업자도 조심하라며 해당 남성의 전화번호를 커뮤니티에 뿌렸다.
그리고 다음부턴 기존 손님들에게도 양해를 구한 뒤 예약금을 받는다고 전했다.

군, 관공서는 전용 방식으로 공문 요청을 한다.
민간에 소셜미디어로 발송한 일은 드물다.

한편 군부대를 사칭하며 노쇼 하는 사례.
이 중에선 국방부 결제 확약서, 구매 목록 등 위조 공문서.
공무원증, 명함 등을 활용하는 일도 빈번한 것으로 보인다.

한 창원 김밥집 운영 사장에 따르면 이렇다.

160인분 주문이 들어왔다.
추가 송금 요청에 미심쩍어서 본사에서 받은 공지를 확인.
알려진 전화번호, 사기 수법이 똑같아서 거래를 취소했다.

이에 육군 5사단 측은 노쇼 피해 예방 포스터 제작 후 홍보에 나섰다.

내용은 이렇다.

군인 사칭 후 도시락, 물품 주문 후 타 업체에 대금 대납 요구 후 잠적.
군부대 사칭해서 단체 음식 예약 후 노쇼.

군에선 납품 업체에 대금 대납을 요구한 경우가 없다.
의심이 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아래 연락처로 문의하세요.

보양식 맛집의 삼계탕 노쇼 사례와 군부대 사칭 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