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커피 가격을 인상

스타벅스 커피 가격을 인상

영국 BBC는 지난 9일 이런 내용의 보도를 전했다.

고물가 문제로 인해 지갑을 닫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중이다.
이에 스타벅스가 고전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 아이다호 주 주민 앤드루 버클리.
그는 스타벅스에서 즐겨 마신 모카커피 가격이 최근 6달러, 한화 8200원을 넘었다.
이런 이유로 스타벅스를 끊기로 했다고 전했다.

버클리는 최근 가격 인상에 대해 이런 입장이다.

이제 끝이다.
스타벅스 대신에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거나 더 작은 커피 체인점으로 향한다.

BBC는 인플레이션에 시달린 소비자가 지갑 문을 닫으며 스타벅스도 고전 중이라고 전했다.

올해 초 스타벅스 전 세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정도 감소했다.
미국에선 최소 1년 이상 영업한 점포 매출이 3% 줄어들었다.
이런 숫자는 지난 2009년 금융위기, 팬데믹 사태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일반 소비자 말고도 충성도가 높은 고객인 스타벅스 리워드 회원.
이것 역시도 감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BBC에 의하면 활성 리워드 회원 숫자가 전 분기 대기 4% 정도 줄어들었다.

스타벅스 최고 경영자 랙스먼 내러시먼.
그는 최근 콘퍼런스콜에서 이렇게 밝혔다.

최근 매출이 실망스러웠다.
중독 지역에서의 잘못된 정보가 매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10월 발발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가자지구 전쟁.
이곳에서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정부랑 군에 자금을 댄단 의혹이 퍼졌다.
이에 불매운동 타격을 맞게 됐다.
당시 스타벅스는 노조가 소셜미디어에 팔레스타인 지지 게시물을 올렸는데 고객의 항의가 빗발쳤다고 한다.
이에 자사 평판을 훼손했다며 노조를 고소해서 논란이 일어났다.
오해로 인해 불매운동의 목표가 됐다고 한다.

이들은 이스라엘과의 관련성을 부정한 상태다.
하지만 여전히 공격을 받는 중이다.
중동 지역의 스타벅스 직원 20% 정도를 감원한단 방침이 발표되기도 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분석가 새러 세나토레.
그는 이렇게 전했다.

스타벅스 가격 인상이 경쟁 업체에 비해 크게 두드러지진 않았다.
불매운동 제외 다른 요인으로 최근 매출 감소를 설명하기엔 충분하지 않다.
내러시먼은 신메뉴 출시를 하며 마케팅을 해 나가는 중이다.
스타벅스 최고 재무 책임자 레이첼 루게리는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밝혔다.

스타벅스 커피 가격을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