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집 남은 소금 빵 폐기 인스타 인증 논란
빵집 남은 소금 빵 폐기 인스타 인증 논란
소셜미디어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해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디저트 전문점 중에서 일부가 자신이 만든 디저트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면서 폐기를 하고 이것을 인증하는 동영상, 사진 등을 게시했다가 논란에 휩싸인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엔 일부 논란 중인 가게 음식물 폐기 게시물들과 요즘 인스타에서 논란이란 게시물 등의 제목으로 식재료를 전량 폐기하는 모습이 공개된 가게를 고발하는 글들이 잇따라 올라갔다.
게시물을 보면 소금 빵 반죽 100개 폐기라고 하면서 25만 원에 달하는 빵 반죽을 버리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과 자신이 원하는 식감이 아니니 아깝지만 다 쓰레기통으로 한 말과 함께 쓰레기통에 음식물이 버려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이런 동영상은 해당 가게 점주가 직접 올린 것이라고 한다.
원하는 맛, 모양, 식감 등이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단 이유에서 폐기를 한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것을 본 네티즌은 이런 반응을 남겼다.
"장인 정신이 있는 것 같아서 보기 좋다."
"그만큼 신중히 먹거리를 내놓는단 생각에 더 호감이 간다."
"가게 인스타 공식 계정에 멀쩡한 음식 버리는 모습을 올리는 게 거부감이 든다. 상해서 먹지 못하는 것도 아니고 낭비 같다."
"결국 저렇게 버려지는 음식은 곧 환경오염으로 번진다. 음식에 대한 고집이 멋지다고 말할 일인지 궁금하다. 내가 사 먹는 음식이 실패한 음식이라면서 다 버려지고 음식물 쓰레기를 엄청 만들어서 나온 음식이라면 내 입장에선 사 먹기 찝찝할 것 같다."
"기부를 하거나 서비스로 낼 수도 있는데 왜 버리는 건가?"
"환경 오염이 걱정돼."
이런 일이 벌어지는 상황 속에서 해당 영상을 올린 업주들은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다는 입장.
한 푸딩 전문 업주는 이렇게 말했다.
"내 식당은 같은 음식을 내려고 매번 실험하고 원하는 맛의 푸딩이 나오지 않으면 다 버리고 다시 만든다.
우리 모두의 가치랑 자존심을 지킨다. 청결 매뉴얼이 150쪽이 넘고 더 나은 방법을 매번 생각한다."
이런 행위를 좋지 않게 바라보는 동종업자들도 있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서 디저트를 판매 중인 업주는 이렇게 말했다.
"저런 동영상을 올리는 건 같은 업계지만 이해가 가지 않는다.
저걸 굳이 다 버려야 하는 건가?
본인이 원하는 정도가 나오지 않았단 이유에서 버려진 것이라면 그냥 기부를 하거나 지인들에게 나눠주거나 손님들에게 실험 중인데 한번 드셔보라고 나눠주든지 하는 방법이 낫지 않나 싶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마찬가지다.
"아마도 폐기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올리는 건 자신의 식당 자부심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 같다.
마음에 들지 않는단 것을 강조한 건데 차라리 식당에 찾은 손님들에게 모양이 잘 나오지 않은 후식을 하나 더 얹어주는 수단으로 활용하면 소비자들이 보기에도 환경 측면에서 다 나은 마케팅 수단이 되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지난해 6월부터 폐기물 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되며 커피랑 아이스크림 전문점 등의 음식물 폐기물 처리 부담이 줄어든 것이 반영됐단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카페 같은 업장에서 음식물 발생 억제랑 처리 계획 신고 등 의무 대상에서 제외돼 규제 사각지대에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 기후 행동 사무총장 이차경은 이렇게 지적했다.
"업주들이 장인 정신을 보여주려는 수단으로 음식물 폐기물을 대량 생산해낸 영상을 광고 수단으로 활용하는 건 환경적, 사회적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소비자들이 단순히 음식의 맛, 품질을 따지는 게 아닌 그것을 생산해 내는 식당들이 친환경적인 지도 따지는 시대가 온 것을 알아야 한다.
요즘에는 못난이 과일처럼 팔리지 않고 버려지는 과일도 일부로 찾아내서 소비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업주들이 추구하는 가치만을 강조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행위는 오래 사랑받지 못할 것이다."
빵집 남은 소금 빵 폐기 인스타 인증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