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 세대 인스타 인증샷 명소는 여기
"젊은 감각과 신선한 생각을 제품, 마케팅에 적용해서 미래 핵심 고객인 z 세대에게 친근한 회사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지난 1999년 국내 진출한 스타벅스.
이들은 10년 만에 커피 시장을 장악했다.
이것은 큰 성공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스타벅스에 문제가 생겼다.
브랜드가 노후화된다는 점이다.
젊은 세대가 스벅을 고루한 브랜드로 인식할 가능성이 생겼다.
이에 스벅 코리아 대표 손정현 씨는 지난 2022년 10월 취임 후 1020세대를 겨냥한 여러 가지 강화에 나섰다.
결과적으로는 성공적이었다고 한다.
지난 24일 커피 업계에 따르면 이렇다.
스타벅스 멤버십 활성 회원 중 20대 이하 고객 비중은 지난 2019년 19% 지난해 28% 총 9% 올라갔다.
스벅 리워드 가입자 숫자는 작년 말 기준으로 1100만 명 정도다.
이 중에서 20대 이하 가입자 숫자는 약 300만 명이다.
지난 5년 동안 130만 명 늘어났다.
지난해 가입한 신규 고객 중 1020 비중은 40% 정도다.
스벅은 1020 세대가 소셜미디어를 즐겨한다는 점을 착안했다.
이에 인증샷 명소 등 소셜미디어 특화 요소를 적극 도입했다.
지난 1919년 지어진 전통 한옥을 리모델링시킨 대구종로고택점이 대표적인 장소다.
마루에 40석 규모 좌식 공간을 마련했고 오디오 브랜드 뱅 앤드 올룹슨과 협업해서 음악 감상 공간을 넣었다.
지난해 방문한 고객 셋 중에 한 명은 20대였다.
이어서 서울 경동시장 내 폐극장에 들어선 경동 1960, 앉은키만 3m 정도인 거대 곰 인형이 있는 기장임랑원점 등도 성공적이었다.
또한 1020 세대가 주로 쓰는 아이폰 관련된 내용 강화에도 주력했다.
작년 5월 전국 매장에 애플 페이를 도입한 것이다.
지난 2월에는 스타벅스 리워드를 애플 월렛에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애플 월렛에 스벅 카드 등록 시 바코드, 잔액 표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