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대표 관광지 베네치아의 입장료
베네치아는 지난 25일을 시작으로 7월까지 주말, 공휴일.
이때 들어오는 당일치기 관광객에게 입장료를 부과한다.
도시 입장료는 세계 주요 도시 중에서 베네치아가 첫 사례다.
사전 홍보가 불충분해서 제도를 시행한 첫날 혼선이 빚어졌다.
베네치아 시장 루이지 브루냐로는 이렇게 말했다.
"불편을 끼쳐서 죄송하다. 도시를 보존하려고 뭔가 해야 했다."
이탈리아 베네치아 시장이 현지시각 25일 관광객 유입 제한.
이것을 위해 도입한 도시 입장료.
이것에 대해 성공적으로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자평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에 따르면 이렇다.
해당 제도 시행 첫날엔 약 11만 3천 명이 시의 공식 웹사이트.
그리고 앱을 통해 방문 등록했다.
베네치아에서 숙박하지 않고 당일 일정 방문한 관광객 1만 5700명.
이들은 도시 입장료로 5유로, 한화 기준 7천 원 결제했다.
4만 명은 입장료 낼 필요 없는 1박 이상 숙박객이었다.
나머지는 학생과 노동자, 거주민의 친척이나 친구 등 면제 대상이었다.
지역 일간지 베네치아 투데이는 이렇게 보도했다.
도시 진입 지점 곳곳에서 검표원이 1만 4천 명을 검표했다.
심각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입장료를 안 냈다가 적발 시 50~300유로, 한화 기준 7만 원에서 44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한편 베네치아 지역의 주민 500명은 입장료 부과 제도가 도시를 베니랜드로 만들었다며 당국 조치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베니랜드란?
- 베네치아와 디즈니랜드 합성어다.
전문가들은 도시 입장료 부과 제도가 과잉 관광 문제를 해결할 때 효과가 있을지 회의적이다.
베네치아에 따르면 이렇다.
관광객이 몰리며 생활환경이 악화됐다.
이에 지난 1951년 약 17만 5천 명인 거주 인구.
지금은 5만 명 이하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