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현대 서울 백화점의 무인매장 언커먼 스토어
더현대 서울이 지난해 2월 선보인 무인점포에는 1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현대 백화점은 백화점 업계 유일의 더현대 서울 무인점포 누적 방문객 수가 10만 명을 넘어섰다고 31일 밝혔다.
하루 평균 250여 명이 매장을 찾은 셈이다.
특히 전체 관람객의 85%가 30대 이하 소비자로 집계됐다.
현대 백화점은 이렇게 설명했다.
"우리는 스스로 찾고 상품을 탐험하는 것을 선호하는 세대의 취향에 맞추는 데 성공했다. 주말이면 입장 대기 시간이 800명대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 백화점 그룹의 정보기술(IT) 업체인 현대 IT&E와 아마존 웹서비스가 협업해 만든 무인점포다.
라이프스타일 편집숍을 표방하며 패션잡화, 생활용품, 상품 등 200여 개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소비자는 앱을 이용해 입장하거나 결제할 수 있다.
고객이 앱 내 QR코드를 인식해 매장에 들어가 제품을 가져가면 사전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자동 결제된다.
자동결제는 매장 천장에 설치된 인공지능 탑재 카메라 40대와 체중 감지 센서 150대로 고객을 추적해 이뤄진다.
오렌지 색상을 활용한 독특한 매장 디자인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온라인에서 인증숏 명소로 입소문이 퍼지면서 20~30대 유입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언커먼 스토어는 지난해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한 2021년 우수디자인 상품 선정 대상에서도 은상을 수상했다.
현대 백화점 관계자는 말했다.
"우리는 주요 매장에 두 번째 비범한 매장을 여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계속할 것입니다."
더현대 서울이 지난해 2월 선보인 무인점포에는 1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현대 백화점은 백화점 업계 유일의 더현대 서울 무인점포 누적 방문객 수가 10만 명을 넘어섰다고 31일 밝혔다.
하루 평균 250여 명이 매장을 찾은 셈이다.
특히 전체 관람객의 85%가 30대 이하 소비자로 집계됐다.
현대 백화점은 이렇게 설명했다.
"우리는 스스로 찾고 상품을 탐험하는 것을 선호하는 세대의 취향에 맞추는 데 성공했다. 주말이면 입장 대기 시간이 800명대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 백화점 그룹의 정보기술(IT) 업체인 현대 IT&E와 아마존 웹서비스가 협업해 만든 무인점포다.
라이프스타일 편집숍을 표방하며 패션잡화, 생활용품, 상품 등 200여 개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소비자는 앱을 이용해 입장하거나 결제할 수 있다.
고객이 앱 내 QR코드를 인식해 매장에 들어가 제품을 가져가면 사전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자동 결제된다.
자동결제는 매장 천장에 설치된 인공지능 탑재 카메라 40대와 체중 감지 센서 150대로 고객을 추적해 이뤄진다.
오렌지 색상을 활용한 독특한 매장 디자인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온라인에서 인증숏 명소로 입소문이 퍼지면서 20~30대 유입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언커먼 스토어는 지난해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한 2021년 우수디자인 상품 선정 대상에서도 은상을 수상했다.
현대 백화점 관계자는 말했다.
"우리는 주요 매장에 두 번째 비범한 매장을 여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계속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