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축제 연예인 섭외 비용
섭외 비용
- 최소 1억 5천만 원에서 3억 원이다.
5월 축제 시즌에 접어든 상태다.
대학가는 인기 가수 섭외전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선 대학 축제가 아이돌 잔치로 변질돼서 비용 부담안 가중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11일 대학가에 따르면 이렇다.
서울대는 지난 7일부터 9일.
이화여대는 지난 8일부터 10일.
한국외대는 지난 8일부터 9일.
제각기 축제를 개최했다.
서강대와 숭실대는 이달 중순.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경희대, 중앙대는 이달 말에 일제히 축제가 진행된다.
이맘때가 되면 서울 대학 축제 라인업이란 제목의 게시글.
또는 공연 가수를 촬영한 직캠 동영상 등이 오르내린다.
한국 외대는 올해 축제에 싸이, 아이돌 걸그룹인 아일릿을 섭외했다.
경희대는 데이식스와 비비, 실리카겔과 이승윤을 섭외했다.
동국대는 싸이와 데이식스, 10CM 공연이 예정돼 있다.
가수들이 축제 현장에서 공연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대학들은 행사료 관련 문제로 앓고 있다.
서울 시내 대부분 학교는 축제 비용으로 최소 1억 5천만 원에서 3억 원까지 지출한다.
한양대 총학생회에서 지난해 발표한 자금 운용 현황에 따르면 이렇다.
작년 축제 전체 지출 중에서 섭외비가 49.75% 정도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무대 설치, 진행비는 25.31% 정도다.
둘을 합치면 전체 예산 중 3분의 2를 공연에 쓴 것이다.
서울 시내 대학 총학생회 임원은 이렇게 전했다.
축제가 학생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있다.
누가 오느냐에 따라 안팎에서 보는 축제의 수준이 변한다.
무리를 해서라도 돈 지랄을 하는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축제에서 연예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케이팝 아티스트의 몸값은 올라가며 아예 외부 업체에 맡기는 학교도 있다.
학교, 학생회 자체 역량만으론 연예계랑 계약 사항 등 논의를 해야 하는 준비 과정을 감당하기 쉽지 않아서 그렇다.
실제로 조달청 나라장터를 보면 이렇다.
경희대는 올해 축제 행사 대행업체 입찰 조건에 정상급 힙합 가수 1팀, 최정상급 아이돌 1팀, 정상급 밴드 1팀, 최정상급 가수 1팀, 정상급 아이돌 1팀 등을 내걸었다.
재원 마련을 하지 못해서 축제를 취소한 대학도 있다.
국민대 총학생회 비상 대책 위원회는 지난 3월 이렇게 공지했다.
봄 축제 추진을 위해 지속해서 논의했다.
비대위 체제로 인한 예산 감소, 인력 부족 사유로 진행이 무산됐다.
이에 대학 축제는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꾸미는 방향이 바람직하단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 한 대학 학생회 관계자는 이렇게 전했다.
학생들이 운영하는 주점, 부스, 학생들의 자체 내용이 중심이 돼야 한다.
주객이 전도된 기분이다.
연예인 섭외 명단으로 학교 네임밸류를 가르며 축제 질을 평가하는 분위기가 안타깝다.